책, 영화, 음악/하루하루 기록하는 독서7 <위건부두로 가는 길> - (7) 11장. 왜 사회주의가 지지 받지 못하는가 "지금이 몹시 어려운 때라는 사실은 굳이 말할 필요도 없다... 이제는 심지어 중산층조차 역사상 처음으로 생활고로 허덕이고 있다" 조지 오웰은 사회주의가 이러한 현실의 출구가 될 수 있으리라 말한다. '제대로 적용되기만 한다면' 말이다. 그가 생각하는 사회주의는 다음 구절에서 드러난다. '세계는 잠재적으로는 모두를 위한 양식이 풍부한 공간을 향해 항해하는 뗏목 같은 것이다. 그리고 우리 모두 누구나 공평한 몫의 일을 하고 공평한 몫의 양식을 얻을 수 있도록 서로 돕고 힘써야 한다는 아이디어는 너무나 당연한 것이어서, 지금 체제에 들러붙으려는 부패한 동기를 갖지 않은 한 누구나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다'라고. 그렇다. 공평하게 일하고 공평하게 받는 세상. 모두가 .. 2020. 4. 24. <위건부두로 가는 길> - (6) 10장. 건너기 힘든 계급의 강 하지만 안타깝게도 부랑자들과 어울린다고 해서 계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기껏해야 자신의 계급적 편견을 어느 정도 없앨 수 있을 뿐이다. 부랑자들은 섞여들어가기가 쉬운 편이다. 조지 오웰은 자신의 악센트로 출신이 드러날까 걱정했지만 정작 부랑자가 되어보니 온갖 악센트가 섞여 있어 자신을 눈치채는 이가 몇 없었다. 그리고 남의 과거에 대해 묻지 않으니 출신에 대해 말할 기회가 전혀 없었던 것이다. 방법도 간단했다. 그냥 가까운 부랑자 임시수용소로 가면 끝이었다. 그러나 평범한 노동계급은 말이 달랐다. 단번에 섞여들어갈 방법도 적었을 뿐더러, 전문직인 광부나 건설 인부가 되어 섞이는 것도 어려웠다. 결국 하숙인이 되는 법 밖에 없다. 하지만 조지 오웰과 노동계급.. 2020. 4. 23. <위건부두로 가는 길> - (5) 2. 민주적 사회주의와 그 적들 8장. 학교에서 익힌 편견 조지 오웰은 이번 장에서 왜 노동 계급을 보려 했는지 이야기한다. 사회주의에 대한 스스로의 태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계급'에 대해 확고한 입장을 정해야 했기 때문이다. 작가는 상류 중산층 중 하급에 속했다. 영국의 계급 체계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돈 말고도 계급 제도가 스며들어 있다는 점이다. 이들은 특권 계층에 어울리게 행동하려 노력했지만, 도무지 수익을 보면 상류층처럼 살 수가 없었다. 하인들 팁 주는 법을 알아도 팁 줄 하인은 한 둘 뿐이고, 정장을 주문하는 법을 알아도 주문할 돈이 없었다. 그래서 이런 부류는 인도로 가는 걸 꽤 좋게 생각했다. 그곳으로 가면 싼 값에 승마도 하고 사냥도 하고 하인도 부릴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계.. 2020. 4. 22. <위건부두로 가는 길> - (4) 6장. 실업과 먹을거리 '사람이 죽어 땅에 묻히면 그의 모든 말과 행동은 잊히지만, 그가 먹은 음식은 후손의 튼튼하거나 약한 뼈로 엄연히 살아남는다'. 조지 오웰은 먹을거리의 변화가 왕조가 종교의 변천사보다 중요하다는 주장에 동의하는 편이다. 그렇다면 실업자들은 무엇을 먹고 살까. 어떻게 삶을 꾸릴까. 생각하기에 실업자들은 가능한 예산 내에서 최대한의 영양을 뽑아내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 같았다. 사치품을 줄이고, 조미료나 고기를 줄이고, 가성비 좋고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들에 투자할 것 같았다. 그러나 나는 앞 장에서 했던 생각을 적용하지 못했다. 조지 오웰은 '돈이 없는 사람일수록 건강에 좋은 음식에는 돈을 쓰고 싶은 마음이 없어진다'고 못을 박는다. 앞 장에서 사치품에 관한 내용과 맞아떨어진다. 싸지.. 2020. 4. 2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