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이라면 꼭!2 예비보고서 쓰기 - (2) 본론 저번 포스팅에서는 예비보고서와 결과보고서의 차이점을 알아봤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예비보고서를 써봐야 할 차례겠죠? 안녕하세요, '김바이오공'입니다. 제가 처음 예비보고서를 써오라는 과제를 받았을 때의 막막함을 아직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이 포스팅을 보시는 분들도 같은 마음이라 생각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예비보고서를 '쓰는 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잘 쓰는 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팁으로 다루겠습니다. 아무래도 그냥 쓰는 것과 잘 쓰는 것은 조금 다르니까요. 저번 포스팅에서 적었던 예비보고서와 결과보고서의 차이점을 가져오겠습니다. 예비고서는 이렇게, 결과보고서는 이렇게 표시했다는 것, 기억하고 계시죠? 1. 표지 2. 실험목적 3. 실험이론 및 실험원리 4. 기자재 사용법 / 실험기구 및 재료 / 기기.. 2020. 4. 17. 예비보고서 쓰기 - (1) 차이점 대학생 새내기가 되면 실험을 하게 됩니다. 네, 실험이 참 많습니다. 고생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바이오공'입니다. 대학생이 되고 실험을 하게 되면 보고서를 써야 합니다. 물론 고등학교 때부터 보고서를 써오신 분들도 많겠지만, 이번 포스팅을 찾아오셨다는 건 두 가지 경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첫 번째, 예비보고서가 뭔지도 모르는 경우 두 번째, 예비보고서를 잘 쓰고 싶은 경우 "난 두 번째 경우인데?"라고 생각하시는 분이라면 어서 다음 포스팅으로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여긴 기초부터 탄탄히 다져나가는 곳이니까요. 자, 어서 오세요. 이번 포스팅으로 보고서와 예비보고서의 차이점을 짚고,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검색만 하면 해X캠퍼스가 나오고, 레포X월드가 도배되니 조금 지치셨나요? 그러.. 2020. 4. 11. 이전 1 다음